| ASTI Market Insight:IoT용 스마트 홈 센서| ○ 스마트 홈은 집안의 모든 IoT기기를 모니터링, 조작할 수 있는 플랫폼에서 센서, 컨트롤러, 유무선 네트워크, 가전 제품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IoT센서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으로 약 3,947억원이며 2026년에는 약 7,379억원으로 예측된다.○ 한국의 경우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시장 점유율도 낮지 않은 수준이다.○ IoT센서는 단일 분야로서 활용이 한정되지 않았고 이는 기업 경영상의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음식 아이템으로 정착할 수 있다.1. 기술 개요 스마트 홈(smart home)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냉장고, 텔레비전, 조명 등 가전 제품과 냉난방기, 보안 시스템 등을 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즉, 스마트 폰과 AI스피커의 음성 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집안에 있는 모든 사물 인터넷(IoT)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조종할 수 있는 하나의 플랫폼이다.자동화를 포함한 광의의 관점에서 보면, 스마트 홈은 1905년에 발매된 최초의 휴대용 전기 구동식 진공 청소기로 태동한 뒤 세탁기와 식기 세척기, 건조기 등의 전기를 활용한 생활 가전이 개발되어 현재 우리가 받아들이는 스마트 홈의 개념은 미국의 단추식 저택(Push-Button Manor)에서 비롯됐다.집 안에는 스위치와 모터 전선을 통하여 광원을 제어하는 커튼을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음성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외하면 현재 우리가 활용하는 스마트 홈 서비스와 큰 차이가 없었다(https://www.smarthomepoint.com/history/, The Definitive History of Smart Home Devices, Tristan Perry(2021)에서 재구성, 2022.11.7. 접속). 특히 다양한 센서 개발, 통신 기술의 발전, AI스피커의 발명 등으로 스마트 홈은 비약적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조명, 가전 등의 생활에 필요한 기기 제어만 아니라 환경 모니터링, 온습도 제어, 잠금 장치 설정, 움직임 인식 등을 통해서 스마트 홈을 다양하게 겪고 있다.스마트홈 기술의 역사(스마트홈 생태계의 성장기회, 항만연구(2021년)에서 수정)스마트홈 활용 사례(스마트홈 에코시스템의 성장기회, 항만연구(2021년)에서 수정)입니다기술적인 관점에서 보면 스마트홈은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센서, 컨트롤러, 유무선 네트워크, 가전제품, UI, 플랫폼으로 구성됩니다. 스마트홈은 기술집약적인 시스템이기 때문에 개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IoT용 스마트홈 센서에 대한 연구는 시스템 혁신과 시장 확대, 활용처 향상을 위한 필수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스마트홈 기술구성도(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2022-2024(스마트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2020))스마트홈 기술구성도(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2022-2024(스마트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2020))세계 산업용 HEMP의 지역별 시장규모2. 시장 동향 ■ 시장 규모 및 전망 IoT용 스마트 홈 센서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3,947억원이며 2017년부터의 연평균 증가율(CAGR)은 7.4%이다.대륙별 규모를 보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APAC)의 2020년 시장 규모는 약 1,490억원으로 세계 시장의 약 38%를 차지하고 있다.이어 북미 32%, 유럽 21%, 기타 지역 9%로 대륙별 편차가 타산업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이는 IoT용 스마트 홈 센서 개발 및 생산에 대한 수요가 경제 성장, 즉 인터넷 보급 활성화, 국민 가처분 소득 증대, IT인프라 확대 등의 요인과 더불어 증가한다는 방증이다.연평균 증가율 면에서 역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IoT센서 시장의 팽창은 세계 평균을 웃도는 8.1%의 수치를 나타내고 다른 대륙 역시 균등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이는 세계적으로 IoT센서의 보급과 관련 제품의 개발이 활성화되어 센서 물품을 통한 편리성의 증대는 이제 얼리 어댑터들만의 전유물이 아님을 시사한다.IoT 용·대륙별 시장현 황(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영향 분석을 통한 스마트홈 시장 – 2026년까지의 세계 예측, 시장과 시장(2021년)에서 구성)국내 시장 자료에서 IoT용 스마트 홈 센서만 분석한 데이터는 찾지 못했지만, 스마트 홈 시장에서 IoT센서가 차지하는 비율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의 연도별 규모를 추산했다.스마트 홈 시장에서 IoT용 스마트 홈 센서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0.4%로 이를 활용하고 국내 시장을 조사한 결과 2017~2020년 세계 IoT용 스마트 홈 센서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7%로 나타났다.2020년까지 연평균 증가율은 6.6%로 유럽과 비슷한 수준이며 이미 IoT용 스마트 홈 센서의 보편화가 이뤄지고 상대적으로 성장세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IoT센서 시장의 지역별 양상은 2021년 이후에도 크게 변함 없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성장세가 계속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2026년의 전 세계 IoT센서 시장 규모의 전망치는 약 41조원으로 해당 기간의 연평균 성장률은 28.6%로 추정되고 있다.국내의 경우 전 세계 대비 약 5.1~5.2%의 시장 점유율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2017년으로 추산된 시장 규모의 하락세를 지속하는 대목.전술한 IoT센서의 보편화가 이미 이루어지고 있다는 요인 외에도 기술 집약적 산업 및 규모가 큰 제조업을 필두로 성장한 국내 산업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경공업이다 센서 생산이 아직 매력적으로 비치지 않는 것은 관련 산업 성장 둔화의 요인의 하나로 작용할 수 있다.IoT 용·대륙별 시장전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영향 분석을 통한 스마트홈 시장 – 2026년까지의 세계 예측, 시장과 시장(2021년)에서 구성)IoT용 스마트홈 센서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7년 3,188억원에서 2020년 3,947억원으로 약 1.2배 성장했고, 2026년 7,379억원으로 예상돼 급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분야다. 대륙별 시장규모의 비율은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APAC 시장의 성장세에 따라 한국의 시장도 북미, 유럽에 비해 급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세계에 비해 한국의 시장 점유율은 7% 초반대를 유지하며, 이는 IoT 센서 시장의 규모를 볼 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수치가 아님을 시사한다.IoT 용 스마트홈 센서의 대륙별 시장 규모 추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영향 분석을 통한 스마트홈 시장-2026년까지의 세계 예측, 시장과 시장(2021년)에서 구성)IoT 용 스마트홈 센서의 대륙별 시장 규모 추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영향 분석을 통한 스마트홈 시장-2026년까지의 세계 예측, 시장과 시장(2021년)에서 구성)국내 IoT센서 개발, 응용기업3. 애널리스트 인사이트 중소기업 전략기술 로드맵에서는 IoT용 스마트홈 센서 요소기술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고 있다.기술수요, 특허정보, 특허분류체계 기반 정성·정량 분석을 통해 도출된 상기 센서 및 요소기술의 공통점은 단일 산업 및 제품에만 사용되지 않고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IoT용 스마트 홈 센서 요소 기술그러므로 생산 기업의 관점에서 판로의 부재 및 감소에 따른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는 음식 아이템의 하나로 자리 매김한다.물론 센서 개발이 쉽지 않고 특히 센서 하나의 오작동이 큰 사고로 이어지는 재난 재해의 사례를 접할 때마다 내구성과 신뢰도가 높은 고정 밀도 센서의 개발은 상당한 기술력과 책임감을 요하는 연구 과정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었다.스마트 홈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아 IoT센서 시장은 응용 범위가 넓은 만큼 향후 시장의 확장이 기대된다.정부는 매년 스마트 센서 관련 사업과 과제를 공시하고 대학 및 공공 기관에서도 다양한 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산학 연관의 협력으로 신뢰성 있는 IoT용 스마트 홈 센서 시장을 선점하는 것은 기업의 새로운 음식을 찾기 위한 연구 개발 이상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저자 : 데이터분석본부 부산울산경남지원 선임연구원 심위 / 문의 : [email protected] □ ASTI MARKET INSIGHT 2022-127 보고서 원문을 보다□ 저자 : 데이터분석본부 부산울산경남지원 선임연구원 심위 / 문의 : [email protected] □ ASTI MARKET INSIGHT 2022-127 보고서 원문을 보다